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국민들의 도전정신

영국의 에드먼드 힐러리 경(卿)은 히말라야 정상에 최초로 오른 분이다. 그가 히말라야 정상에 오른 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간은 도전하는 동물이다. 인간이 인간다운 것은 도전정신이 있기 때문이다."


도전은 인간의 본질이다. 도전에는 인내가 필요하고 용기가 필요하고 개척정신이 필요하다. 도전해야 진보가 있고 향상이 있다. 영국 국민은 바다에 도전하였고 이스라엘 국민은 사막에 도전하였다. 스위스 국민은 산에, 덴마크 국민은 히스(heath) 황무지에 도전하였다. 미국 국민은 우주에 도전하였고 일본 국민은 2차 대전 패배 후 Japanese Dream에 도전하였다. 한국 국민은 어디에 도전할 것인가 ?


우리의 선조들 중에서도 도전정신이 탁월한 선조들이 있었다. 신라의 장보고는 바다에 도전하여 해상왕국을 이루어 지금의 베트남까지 상권을 넓혔다. 고려시대 최무선(崔茂宣)은 화통도감(火?都監)을 설치하여 화약무기에 도전하였다. 그의 노력이 조선시대 세종대왕 때에 열매를 맺어 세계 최초의 2단 로켓인 산화신기전(散火神機箭)을 발명하기까지에 이르렀다. 이순신장군은 바다에 도전하여 일본군과의 해전에서 조선을 빛냈다.

문제는 이러한 도전이 후손에게까지 이어져 오지 못한 점이다. 만일 장보고의 도전정신이 성공하였더라면 우리는 영국 이전에 바다를 다스리는 해양강국이 되었을 것이다. 최무선의 화약무기와 세종대왕 시절 2단 로켓기술이 계속 발전하였더라면, 지금처럼 미국의 사드 도입으로 나라가 시끄러운 지경에 빠질 염려는 없었을 것이다.

.

.

우리는 세종대왕 시절의 과학기술이 당대로는 세계 최첨단기술이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세종대왕 시절의 과학기술과 무기 수준이 계속 이어져 왔더라면 임진왜란이 왜 일어났겠으며 병자호란이 왜 있었겠는가? 도전정신이 강한 국민이 발전하고 번영을 누린다. 도전정신이 약한 국민은 침체하고 쇠퇴한다.


군나르 뮈르달(Gunnar Myrdal)은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스웨덴의 경제학자이다. 그가 1968년에 쓴 <아시아의 드라마(Asian Drama)>는 세계적인 명저로 오늘날 우리들에게도 깊은 영감과 교훈을 준다. 이 책에는 국빈론(國貧論, An inquiry into the poverty of Nations)이라는 부제(副題)가 붙어 있다. 이 부제가 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준다.


이 책의 서두에서 이르기를 "한 나라가 가난해지는 것은 반드시 그럴 만한 원인이 있기에 가난해진다. 저절로 가난해지는 나라는 없다.“ 하였다. 그렇다면 한 나라가 가난해지는 원인이 무엇인가? 미르달 박사는 가난한 나라들 중에서 대표적인 인도, 파키스탄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의 빈국(貧國)들을 상세히 관찰한 결과 다음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한 나라가 가난한 나라가 되는 결정적인 원인은 자원의 빈곤이나 자본의 부족에 있지 않다.  불합리한 생활태도 때문이다. 결국 제도와 태도가 문제이다. 그러므로 빈곤에서 해방되는 길은 제도와 태도를 변혁시키는 데에 있다. 가난한 나라의 국민은 사회적 규율이 부족하고, 비합리와 비능률이 사고와 행동에 깊이 배어있다. 이러한 조건들이 고쳐지지 않는 한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다. 빈곤, 침체, 불평등과 같은 사회악은 국민의 사회적 규율 부족에 기인하므로, 사회제도와 국민의 생활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근본적인 빈곤 해결의 길은 없다."

미르달은 경제에 작용하는 비경제적 요소를 중요시하여 불합리한 사회제도와 국민들의 그릇된 생활태도가 빈곤의 원인임을 지적하였다. 그래서 그의 <국빈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가난을 벗어나는 길의 첫째는 사회제도와 생활태도의 변혁이다.

2)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규율을 기르고 훈련시키는 것이 가난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일찌기 도산 안창호 선생은 모든 혁명에 앞서 인격혁명(人格革命)을 강조하였다. 국민 개개인의 건전한 인격 없이 부강한 나라를 세울 수 없고 번영하는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없다. 한 나라의 힘은 그 나라 국민의 도덕성과 인격의 건전함에 있다. 강이 그 수원(水原) 이상으로 올라갈 수 없듯이 한 나라의 발전과 번영은 그 나라 국민의 정신적, 도덕적 수준을 넘어설 수 없다.  [출처 : 김진홍 칼럼]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